여러분은 통장관리를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통장관리야 말로 재테크의 기본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저는 몇개의 통장을 나누어 관리를 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어느정도 재정상태 파악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요즘 라디오를 들으며 길을 가다가 많이 광고로 나오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라는 것인데요 ISA 통장이란 무엇이며 특징은 어떻게 되는지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볼까 합니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



ISA 통장이란 Individual Savings Account 를 줄여 부르는 말인데요 말그대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합니다. 해당계좌에는 예금 적금부터 시작하여 ELS 또는 펀드같은 투자관련 상품을 모두 한곳으로 담을 수가 있는데 그로 인해 계좌 하나만 가지고 종합적으로 자산관리가 가능해지게 됩니다.


ISA 운용시 장점



예전에 은행을 가서 금융상품 관련 가입을 하려면 종류별로 통장을 따로 개설했지만 현재 은행에가서 같은 식의 금융상품 가입을 하려 하면 대부분 따로 하지 않고 ISA 통장을 추천해주곤 합니다. 당연히 통장 하나로 모든 금융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장점은 소득의 일정부분에 대하여 비과세가 있다는 점입니다. 1년에 2천만원까지 불입하여 5년간 운용하였을 경우 200만원까지 수익에 대한 비과세가 적용이 됩니다. 물론 200만원이 넘어가면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비과세 적용이 안되겠지만 말이죠.



물론 수익이 200만원을 넘었다고 해서 해당금액에 대한 소득세를 15.4% 전부 적용받는 것은 아니라고 하며 그보다 낮은 9.9%의 지방소득세를 적용받는다고 하니 한도가 넘어서는 소득이 있더라도 일부 금액에 있어서 절세가 가능하게 됩니다.


그리고 연간 급여가 5,000만원이하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인 사람의 경우 비과세가 200만원에서 250만원까지 확대된다고 합니다.


ISA 운용시 단점



두번째 장점에 대한 비과세를 받기 위해서는 5년간 의무가입을 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5년이 되기 전 해지를 하게 되면 그동안 얻은 수익에 대한 비과세가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익에 대한 소득세는 15.4%가 적용됩니다. 즉 최대 200만원에 대한 5년의 절세금액인 30만6천원에 대한 금액이 절세가 불가능해지게 됩니다.


ISA 선택은 어떻게 해야 되나



2016년 3월 14일부터 시행된 ISA는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장 가입하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홍보와도 같기 때문에 저는 가입을 권유하지는 않습니다. 저도 가입은 아직 하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2016년 5월 한 뉴스기사에 따르면 ISA를 이용한 가입계좌중 74%의 계좌 대략 101만개의 계좌가 가입금액 1만원 이하였다고 합니다. 대부분 간을 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죠.



이상으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및 ISA 통장이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도 가입은 아직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가입을 권유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입여부는 본인의 몫입니다. 가입기간은 2018년 12월 31일까지이므로 잘 선택하시길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