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하드디스크 검사 관련하여 이야기를 나눠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점점 저장장치가 하드디스크에서 SSD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아지만 아직도 SSD는 하드디스크대비 고가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SSD와 하드디스크를 병행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역시 메인드라이브만 SSD를 사용할 뿐 보조드라이브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구조는 쉽게 말해서 예전에 1970년대쯤 사용하던 LP 아십니까? 그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래터라는 원판에 헤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이용합니다.
하지만 SSD의 구조는 플래터가 아닌 메모리의 형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상관도 없는 하드디스크 구조에 대해서 왜 말했냐구요? SSD는 메모리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포맷은 하지 않아도 되며 조각모음 같은 것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뭐 어찌되었든 하드디스크 검사는 일반 하드디스크나 SSD나 둘다 필요한데요 저장장치에 배드섹터가 한번 생기면 그 저장장치는 사망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은 HD TUNE 이라는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한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하드디스크를 검사해본 적이 있습니다.
가급적 HD TUNE은 설치가 필요 없는 포터블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시길 바랍니다. 어지간한 윈도우 PE에도 하나씩 내장되어 있을 만큼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D TUNE은 하드디스크와 SSD의 종합적인 검사를 통해 저장장치 상태를 판단해주는 아주 좋은 소프트웨어입니다.
HD TUNE 프로그램은 일반 버전과 Pro 버전으로 나뉘게 되는데 둘의 차이는 각각 이렇답니다. 하지만 Pro 버전이라도 구글이나 기타검색으로 쉽게 찾으실 수 있으니 따로 링크는 드리지 않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많은 기능중 두가지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첫번째는 저장장치의 건강상태를 통하여 대략적인 상태확인이 가능한데 노란불이 들어올 수도 있으며 빨간불이 들어올 수도 있으니 건강상태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또한 두번째의 실질적인 기능인 오류검사를 통하여 해당 저장장치의 배드섹터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저장장치의 건강상태 다음으로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검사가 시작되면 정상은 녹색으로 점이 찍힐테고 손상이 되었을 경우 빨간색으로 점이 찍히겠죠. 이 두가지 빼고 다른 기능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상으로 하드디스크 검사 관련하여 글을 써보았는데요 갑자기 컴퓨터의 속도가 느려졌다던가 이상이 발생한거 같다? 반드시 HD TUNE을 통해 검사를 한번쯤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비밀번호 설정 및 해지 방법을 알아봅시다 (0) | 2016.05.03 |
---|---|
유니크로 안전거래 방법을 알아봅시다 (0) | 2016.04.30 |
mp3 용량 줄이기 방법과 효과는 (0) | 2016.04.19 |
PDF 용량 줄이기 2가지 방법 (0) | 2016.04.18 |
pdf 한글 변환 방법 있다 없다?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