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특정일만 되면 우리는 제사를 지내게 되는데요 기독교가 아닌이상 거의 대부분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설과 추석 그리고 또는 증조부모 조부모께서 돌아가신 기일에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제사를 지낼 때 우리는 제사를 지내는 대략적인 방법만 알고 있을 뿐 제사를 정확히 어떻게 지내는지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제사 지내는 법 및 제사 지내는 순서 관련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참고로 지역마다 제사 지내는 법이 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이대로 하진 않는다는점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1. 강신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제주) 즉 집안의 장남이 먼저 향을 피우고 제사를 돕는 사람(집사) 즉 차남 또는 그 밑의 형제중 남자가 잔에 술을 부어주게 되면 제주가 모사 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나서 두번 절을 합니다. 


2. 참신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 모두 절을 두번 합니다.



3. 초헌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붓는데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시계 반대방향으로 3번 돌리고 집사에게 줍니다. 집사는 받은 술을 상에 올리고 젓가락을 과일류를 제외한 음식에 올리면 제주가 두번 절을 합니다.


4. 독축


제사를 지내는 사람 모두 꿇어 앉고 제주가 축문을 읽은 다음 다 읽게 되면 모두가 두번의 절을 합니다.



5. 아헌


두번째로 술을 올리는데 제주의 부인 또는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잔을 향불에 역시 시계 반대방향으로 3번 돌리고 상에 올린다음 두번의 절을 하게 됩니다.


6. 종헌


세번째로 술을 올리는데 제주의 자식과 같은 가까운 사람이 잔을 향불에 세계 반대방향으로 3번 돌리고 올린다음 역시 마찬가지로 두번의 절을 합니다.


7. 유식 


제주가 제사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잔에 첨잔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제주의 부인은 밥뚜껑을 열고 젓가락을 시접위에 올리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제주는 두번 부인은 네번의 절을 합니다.




8. 합문


고인이 제사상을 드실때까지 밖에서 기다립니다.


9. 헌다


국을 모두 물리고 그자리에 숭늉을 대신 올립니다.


10. 사신 


숭늉의 수저를 거두며 밥그릇 뚜껑을 닫습니다.


11. 철상 


제사가 종료되고 음식을 물리는 작업을 하는데 뒤에서부터 차례대로 물립니다.



이렇게 첫번째부터 열한번째까지의 순서가 있는데요 저희집에서 지내는 제사와는 한 50% 다른것 같습니다. 저희 집에서 제사를 지낼때는 제사를 지내며 중간에 밥그릇 뚜껑을 열고 국을 교체하고 중간중간 모든 작업을 다하며 숭늉 교체작업도 없고 음식을 물릴때 뒤에서부터 차례때로 하는게 아니라 그냥 무작위로 물렸거든요.



이렇게 제사 지내는 법은 지역과 방법에 따라 약간씩 제사 지내는 법과 제사 지내는 순서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것이 맞다 저것이 맞다 논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이상으로 제사 지내는 법 및 제사 지내는 순서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아마 축문을 읽는 집은 없을듯 합니다. 100% 정석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알아두시길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